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베르디 오페라 <나부코>의 합창곡이 이탈리아 독립운동의 상징이 된 이유

by neokbw123 2025. 4. 4.

베르디

이탈리아의 위대한 오페라 작곡가 주세페 베르디(Giuseppe Verdi)는 단순한 음악가가 아니였다. 그는 이탈리아의 정치적, 민족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예술가였다. 그의 오페라 중에 <나부코(Nabucco)>는 단순한 음악적 성취를 넘어서 이탈리아 독립운동과 강하게 연결된 작품이다. 특히 극 중 등장하는 합창곡 “히브리 노예들의 합창(Va, pensiero)”은 이탈리아 국민들에게 깊은 감동을 주며 독립을 위한 투쟁의 상징이 되었다. 이번 글에서는 <나부코>가 국민적인 오페라로 자리 잡은 배경과 이탈리아 독립운동과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겠다.


1. <나부코>와 히브리 노예들의 합창

베르디의 <나부코>는 바빌로니아 왕 네부카드네자르(나부코)와 포로로 잡혀간 히브리 민족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이 오페라는 구약성경의 내용을 바탕으로 하고 있고 주인공들은 바빌로니아에서 자유를 갈망하는 히브리인들이다.

특히 3막에서 등장하는 합창곡 '히브리 노예들의 합창'은 고향을 그리워하는 히브리 노예들의 애절한 마음을 담고 있다. 이 곡은 서정적이고 아름다운 멜로디 속에서 억압받는 민족의 슬픔과 자유에 대한 열망을 잘 표현한다. 가사 속에서 히브리인들은 유프라테스 강가에서 눈물을 흘리며 잃어버린 조국을 회상한다. 이 장면은 당시 오스트리아의 지배 아래 있던 이탈리아인들에게도 깊은 공감을 불러일으켰다.

2. 이탈리아 독립운동과 <나부코>

베르디가 이 오페라를 작곡하던 시기는 19세기 중반으로 이탈리아는 여러 개의 소국으로 나뉘어 있었으며 오스트리아 제국의 지배를 받고 있었다. 당시에 이탈리아인들은 독립과 통일을 간절히 염원하고 있었고, 이를 위한 민족주의 운동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나부코>의 공연이 시작되자마자 나오는 “히브리 노예들의 합창”은 단순한 오페라의 한 장면을 넘어서 이탈리아인들의 애국심과 독립 의지를 고취하는 곡으로 받아들여졌다. 마치 우리나라의 아리랑과 같은 것이다. 극 중 히브리인들의 처지는 당시 오스트리아의 억압 속에 있던 이탈리아인들의 현실과 맞물렸고, 선율의 애절함은 이탈리아 민중의 심금을 울렸다.

공연 당시 관객들은 이 곡이 연주될 때마다 열렬한 박수와 환호를 보냈고 어떤 경우에는 앙코르 요청이 쇄도하기도 했다고 한다. 이로 인해 이 작품은 단순한 오페라가 아니라 이탈리아 민족주의의 상징이 되었다.

3. 베르디와 독립운동

베르디 본인도 이탈리아 민족주의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오스트리아의 지배에 반대하는 입장을 명확히 하였기에 그의 음악은 이탈리아 민족의 독립과 통일을 위한 투쟁과 함께했다.

특히 “Viva Verdi”라는 구호는 이탈리아 민족주의자들 사이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그의 이름 ‘Verdi’는 단순히 작곡가의 이름이 아니라, “Vittorio Emanuele Re D’Italia”(이탈리아의 왕 비토리오 에마누엘레)라는 의미의 약자로 해석되기도 했다. 이것은 당시 이탈리아 통일 운동을 지지하는 정치적 메시지를 담고 있다.

베르디는 이후에도 <라 트라비아타>, <돈 카를로>, <운명의 힘> 등에서 자유와 억압이라는 주제를 지속적으로 다루며 그의 음악을 통해 정치적 메시지를 전달했다. 그는 1861년 이탈리아가 통일을 이룬 후에 초대 이탈리아 왕국의 국회의원으로도 활동하면서 직접적으로 국가 발전에 기여했다.


베르디의 <나부코>는 단순한 오페라가 아니라 이탈리아 독립운동과 민족주의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 특히 '히브리 노예들의 합창'은 이탈리아인들에게 깊은 감동을 주어 독립을 위한 열망을 하나로 묶는 역할을 했다.

지금도 여전히 이 곡은 이탈리아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공식 행사나 국가적 위기 때 자주 연주된다. 음악이 단순한 예술을 넘어서 한 민족의 정체성과 역사적 흐름을 형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